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
[RP2040] W5500-EVB-PICO 2개를 사용한 DebugProbe 이번 글에서는 W5500-evb-pico 두 개를 사용하여 라즈베리 파이 피코의 DebugProbe 를 VS Code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이 글을 작성하게 된 이유는 DebugProbe에 관련된 많은 글들이 있지만, Window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서 많은 글들을 참고했음에도 실행이 되지 않았다. 간단한 것이지만 간단한 것 치고는 너무 많은 시행착오를 겪다 보니, 이를 실행하기 원하는 다른 유저들은 이런 시행착오를 겪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포스팅하게 되었다.   먼저, 이 DebugProbe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J-Link, ST-Link  디버거들의 가격은 상당히 부담이 될 수 있다. W5500-evb-pico를 DebugProbe 로 사용하면 가격에 대한 걱정을..
[임베디드 보드]Ethernet 솔루션이 탑재된 IoT 프로젝트에 적합한 EVB 보드 : Surf 5 안녕하세요, 오늘은 WIZnet의 새로운 신규 이더넷 보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름은 Surf 5라는 보드입니다, PoE 솔루션이 탑재되어서, 별도의 전원 추가 없이 다양한 모듈 및 디바이스를 물려 사용할 수 있는 보드인데요. 물론 이 Surf 5가 장점인 이유는 PoE도 있겠지만, WIZnet가 제공하는 두 개의 개발환경에서 빌드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라즈베리파이 PICO처럼 빌드가 매우 쉬운 플랫폼이기도 하구요. 개발환경은 VS코드와 KEIL을 제공하는데, 많은 개발자들이 VS코드를 사용하는 만큼 이더넷 프로젝트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maker.wiznet.io/contest/surf5 Surf5 Design Contest Surf5 Des..
[STM32] STM32F103C8T6에 W5100S FW 포팅하기 STM32F103C8T6에 W5100S 포팅하기내가 포팅하려는 보드는 STM32F103C8T6에 W5100S가 연결된 블루필 보드이다. 먼저 블루필 보드의 Schmatic을 참고하여 어떤 포트가 SPI, 크리스탈 핀, 칩 리셋, 칩 인터럽트인지 파악한다.  CUBE IDE에서 칩을 찾아 각 핀넘버를 config 시켜준다. PB10, PB11, PB12는 각각 chip int pin, chip rst pin, SPI NSS(Slave Select이므로 GPIO로 Enable) 이므로 아래와 같이 config 한다.RCC 크리스탈 연결 핀은 PC14, PC15, PD00, PD01이므로 RCC 컨디션을 아래와 같이 config한다. 나머지 SPI 컨디션은 아래와 같이 config한다. 총 10개의 핀에 이름..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스마트 팜(웹 서버 컨텐츠 포함) 아래 링크는 제가 만든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스마트 팜을 소개한 내용의 링크입니다. 하드웨어 보다 소프트웨어에 초점을 두고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코드로 작성하려고 노력한 코드입니다. Flow를 참고하셔도 좋고, 보드 통째로 사용하여 개인 프로젝트로도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내부에 Git 코드로 업로드도 되어 있습니다. 저는 MCU Part를 담당했기에, 서버 관련 코드가 궁금하신 분들을 아래 글을 내부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Smart Farm MCU Part] WIZnet Smart Farm(AI Server + W5100S-EVB-PICO) This project implements a simple smart farm using W5100S-EVB-PICO, where an AI serv..
[Git] Repository 업로드 방법 1. Repository 업로드 방법 Your repositories 클릭 New 클릭 이름 입력 후 공개여부 결정한 후 Create repository 클릭 set up in Desktop 클릭해서 git 프로그램으로 진입 원하는 경로 설정 git 프로그램에서 위 버튼을 눌러 해당 repository 경로 복사 경로 입력한 후 해당 폴더에 올리길 원하는 프로젝트를 업로드 좌측 하단 commit to main 클릭하고 상단 Fetch origin 클릭 업로드 완료.
[CMAKE] 2. 추가적인 CMAKE 경로 설정 방법 1. 추가적인 경로 설정 방법을 알아보는 이유 이전 글에서 CmakeLists.txt 파일의 기본적인 경로 설정 방법을 실습해보았다. CmakeLists.txt파일을 이용하여 경로를 잡아주다보면 유난히 자주 쓰이는 경로라던지 까다롭게 경로가 설정이 되어있는 경우라던지 여러 경우가 존재할 것이다. 이런 경우를 마주했을 때 무작정 경로를 잡아주다보면 내가 경로를 잡기보다 내가 경로한테 잡히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조금 더 쉽게 극복할 수 있게 CmakeLists.txt 파일 경로 설정 특성에 따른 몇 가지 경로 설정 방법을 실습해보자. 2. 추가적인 CMAKE 경로 설정 방법 만약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 디렉토리가 있다고 가정하자. D:\Cmake_Test_2 이 Cmake_Test_2의..
[CMAKE] 1. VS CODE 코딩을 위한 CMAKE 경로 설정 하기(기본) 1. CMAKE란? CMAKE는 단순히 VS Code 환경 내에서 파일 간의 빌드 프로세스 잡아주는 플랫폼이다. 친절한 컴파일러나 최신 개발환경에서는 딱히 세부적으로 경로를 잡아줄 일이 없이 간단한 경로추가와 main.c파일의 빌드 버튼만 누르면 바로 빌드가 가능하다. 하지만 VS Code(GNU 툴체인 , GCC 컴파일러 등)에서 개발할 경우 CMAKE를 통해 경로를 잡아주어 빌드 프로세스를 완성해야한다. 2. VS Code 내에서 테스트를 위한 C 코딩 경로는 먼저 D드라이브에서 Cmake_Test_2라는 폴더를 생성한다. (D:\Cmake_Test_2) 그리고 아래와 같이 main.c에서 코드를 입력한다. 간단한 덧셈, 곱셈 코드이다. ///main.c #include #include "calcul..
[STM32] RTOS 1. STM32에서의 RTOS 우리가 기존 메인함수에서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처리한 방식을 None-OS 방식(다양한 기능이 존재하는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코드가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방식)이 아닌 STM32에서 자주 사용되는 OS를 RTOS라고 한다. None-OS방식은 순차적으로 코드가 처리된다. 함수를 적시에 사용을 해야한다면 사용자는 별도로 코드작성을 통해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구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RTOS는 Task를 이용한 작업 스케줄링을 통해서 함수의 동작을 병렬처리를 하도록(사실 직렬 처리이지만 각 Task가 이동하는 시간이 매우 짧아 병렬처럼 느껴진다.) 만들어준다. RTOS는 실시간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운영체제로, 정해진 시간 내에 정확한 ..